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서버 점검 공지
|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케이온!(애니메이션 1기)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대한민국 === IPTV [[olleh tv]]에서 수입해 2009년 12월 1일에 VOD 버전으로 서비스했으며, [[투니버스]]에서 2011년 2월부터 투니랜드 극장을 통해 미라지판 자막 버전으로 제공했다. 그리고 2011년 5월 2일부터 [[애니맥스 코리아]]를 통해 1~2기 전부 방영되었다. 영상 소스는 일본과 달리 SD였다. 연출과 번역 때문에 말아먹은 [[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(2006년 애니메이션)|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]]의 선례로 많은 이들이 불안에 떨었지만, 다행히 더빙 퀄리티는 그럭저럭 잘 나왔다는 평. 작중 OST는 대부분 한국어 번안 없이 자막 버전으로 송출했는데, 아마도 일본쪽 음반사와 별도로 계약을 해야하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은듯.[* 사실 [[아이카츠!]], 프리큐어 등 유치원~초등학생 나이대의 아이들을 타겟으로 한 작품이 아닌 이상은 2000년대 들어서 번안을 잘 안하는 편이다. ---러키스타는 희귀한 케이스---][* [[히라사와 유이|유이]]와 [[히라사와 우이|우이]] 자매가 비 오는 날에 부른 노래는 정식 OST로 치지 않았는지 유일하게 더빙을 했다.] 참고로 인터넷에 떠도는 더빙판 영상(애니맥스 녹화분이 아닌 일본판 영상에 한국어 음성분)에서는 더빙판 + [[나래하제]]판 OST를 합쳐놓은 것이므로 공식과 헷갈리지 말자. [[류점희]]의 [[히라사와 유이]] 연기는 아주 훌륭했고, [[소연(성우)|소연]]의 [[타이나카 리츠]] 역시 괜찮다는 평에 이견이 없었으나 다른 캐릭터의 경우에는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었다.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성우들이 차츰 캐릭터 분석을 마침에 따라 점차 연기가 캐릭터와 맞아들어가기 시작했다. 번역은 후리기획이 맡았다. 엔화를 원화로 바꿨다든가[* 사실 이 번역은 애니맥스 고질적인 문제다.], 모에모에 큥[* 국내 더빙팬들이 가장 많이 제시한 예로는 '두근두근 뿅'으로, 아니면 차라리 투니랜드 자막판의 '끝내주지'라는 평범한 번역이라도 그대로 내보낸것보단 더 낫다는 사람도 있다.] [[일본어]]를 그대로 더빙했다는 것만 빼면 그다지 문제될만한 부분은 없다. 다만 영상면에서 상당히 들쑥날쑥하는데 처음에 풀 스크린이었던 영상이 1기 9화 전후를 기점으로 레터박스로 바뀌지를 않나[* 주제가 자막은 처음부터 16:9 레터박스 기준으로 되어 있다.] 2기의 경우 엔딩 스태프롤에 한국 측 스태프뿐만 아니라 일본 측 스태프를 전부 표기하고 있는데 8화에선 그 많은 일본 측 스태프를 전부 표기했으나 너무 많았던 터라 정작 중요한 한국 성우진 스태프롤이 묻혀버렸다.[* 오프닝에 성우진을 표기하긴 했지만 정작 한국판 성우가 아닌 일본판 성우를 표기하였다. ~~[[김정규|어?]]~~] 덧붙여 2기의 첫번째 엔딩인 'Listen!'에서 제목과 노래를 부른 방과후 티타임 멤버들 이름이 나올 때 [[타케타츠 아야나]]의 이름이 타메타츠 아야나라고 나오고 엔딩이 바뀔 때까지 수정하지 않고 이 상태로 쭉 나왔다. 참고로 담당 PD가 그 유명한 [[소울 이터(만화)/애니메이션|소울 이터]]를 연출한 [[최옥주]] PD다. 한참 인기가 많았을 때 [[성우 갤러리]]에서 타 캐릭터의 보이스를 덧씌운 성우 개그 영상이 만들어졌으며, '혼돈의 케이온더빙 성우장난'이란 제목으로 티비플에 올라왔다. 각각 유이는 [[타마마]], 미오는 [[베르단디(오! 나의 여신님)|베르단디]], 리츠는 [[사라 케리건]][* 단, 초입부에 딱 한 번 타마마(영상의 유이)를 달래는 [[푸루루]]의 대사가 나왔다. 여담으로 [[김현지|푸루루의 성우]]는 이후 아즈냥을 맡았다.]이며 츠무기는 그대로. 처음에는 중반부로 접어들자 갑자기 [[북한]] 컨셉으로 가더니 다음 화 예고는 [[데스노트]] 컨셉으로 갔다. 2023년 기준으로 TVA 1~2기 더빙판과 극장판(자막)은 정식으로 [[VOD]] 서비스하고 있는 곳이 없다. 자막판은 TVA 1~2기 모두 [[Laftel]]이나 [[네이버 시리즈온]] 등 여러 곳에서 해주고 있는 걸 생각하면 상당히 아쉬운 부분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